를 포함하는 두 글자의 단어: 250개

한 글자:1개 🥦두 글자: 250개 세 글자:436개 네 글자:531개 다섯 글자:187개 여섯 글자 이상:275개 모든 글자:1,680개

  • : (1)특례의 옛말.
  • : (1)법규의 적용 관계를 정한 법률이나 규정. (2)예의로써 지켜야 할 규범.
  • : (1)글을 짓는 데에 본보기가 되는 예문. (2)다른 두 사물의 공통점을 근거로 하여, 한 사물에 있는 것이 다른 사물에도 있다고 추리하는 일.
  • : (1)‘예투’의 북한어.
  • : (1)‘예복’의 북한어. (2)‘예복’의 북한어.
  • : (1)조선 시대에, 관아의 벼슬아치가 잘못을 저질렀을 때, 그 사람에게 벌로 술값을 내게 하던 일.
  • : (1)변변하지 아니한 예의.
  • : (1)형률의 작용에 대한 범례.
  • : (1)각 궁에 속한 하인.
  • : (1)‘예설’의 북한어.
  • : (1)사례의 뜻으로 나타내는 예. (2)차례로 돌아다니면서 인사함. 또는 그런 인사. (3)모임이나 회의에서 지켜야 할 태도나 행동. (4)서로 만나서 인사함. 또는 그런 인사.
  • : (1)‘여주’의 옛말.
  • : (1)중국 청나라 때에, 종합 법전인 ≪대청회전≫을 보완하기 위하여 만든 문서. 법을 적용할 때 생긴 신례(新例), 의의(疑義), 보족(補足) 따위를 각 관아에서 모아 편집한 것이다.
  • : (1)‘예비’의 북한어.
  • : (1)‘여례’의 북한어.
  • : (1)‘예필’의 북한어.
  • : (1)‘예사’의 옛말.
  • : (1)후한 예의. (2)후한 인사.
  • : (1)예법에 따라 조심성 있게 몸가짐을 바로 함.
  • : (1)‘예방’의 북한어. (2)‘예방’의 북한어.
  • : (1)‘예언’의 북한어.
  • : (1)‘예찬’의 북한어. (2)‘예찬’의 북한어. (3)‘예찬’의 북한어.
  • : (1)종묘(宗廟) 등에 제사 지내는 예. (2)증거로 전례(前例)를 들어 보임. 또는 그런 예.
  • : (1)예의에 어그러짐. 또는 그런 예절.
  • : (1)예(禮)를 사랑하고 존중함.
  • : (1)‘예당’의 북한어.
  • : (1)손님을 대하는 예의.
  • : (1)‘예물’의 옛말.
  • : (1)예식이나 행사의 몸가짐 따위에 대한 자세한 예절.
  • : (1)‘예물’의 북한어.
  • : (1)중국의 당나라 때 쓰던 예서(隷書)의 하나. 보통의 예서보다 약간 뒤에 완성된 새로운 서체인 팔분(八分)을 이르는 말이다. (2)조선 시대에, 의금부나 사헌부에 속하여 시중을 들면서 백성들의 불법 행위를 단속하던 하인.
  • : (1)절하는 예(禮). 또는 절하여 예를 표함. (2)높은 사람의 시중을 드는 종.
  • : (1)‘예경’의 북한어.
  • : (1)상례(常例)를 어김. (2)평상적인 상태에서 탈이 남. (3)예의에 어긋남.
  • : (1)예전에, 자기의 성명이나 직함 아래에 도장 대신에 자필로 글자를 직접 쓰던 일. 또는 그 글자. (2)신라 때에, 건축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아. (3)조선 시대에, 육조(六曹) 가운데 산택ㆍ공장ㆍ영선(營繕)ㆍ도야(陶冶)를 맡아보던 정이품 아문.
  • : (1)‘예도’의 북한어.
  • : (1)순서 있게 구분하여 벌여 나가는 관계. 또는 그 구분에 따라 각각에게 돌아오는 기회. (2)책이나 글 따위에서 벌여 적어 놓은 항목. (3)일이 일어나는 횟수를 세는 단위. (4)음력 매달 초하룻날과 보름날, 명절날, 조상 생일 등의 낮에 지내는 제사.
  • : (1)안주인에게 하는 인사나 예절.
  • : (1)말, 동작, 물건 따위로 남에게서 받은 예(禮)를 도로 갚음. 또는 그 예.
  • : (1)위에 든 보기. (2)예법을 중히 여기고 숭상함. (3)서로 예로써 대함. (4)조선 시대에, 통례원에서 제사나 조하 따위의 일을 맡아보던 종삼품의 벼슬. (5)대한 제국 때에, 장례원ㆍ예식원에 속한 주임관. (6)보통 있는 일. (7)두루 많이 지키는 보통의 예법. (8)부모, 승중(承重)의 조부모, 증조부모, 고조부모와 맏아들의 상사(喪事)에 관한 의례(儀禮). (9)상중(喪中)에 지키는 모든 예절.
  • : (1)‘예단’의 북한어. (2)‘예단’의 북한어.
  • : (1)모든 성현에게 한꺼번에 배례하는 일. (2)약식으로 거행한 세례식이나 결혼식을 나중에 보충하는 예식.
  • : (1)조선 시대에, 성균관이나 향교에 속한 노비.
  • : (1)직접 예속함.
  • : (1)조선 시대에, 결혼식을 비롯한 여러 가지 의식을 거행하던 집. ⇒남한 규범 표기는 ‘예청’이다.
  • : (1)결혼식 따위의 예식을 맡아 주장하여 진행하는 일. 또는 그런 사람. (2)중국의 경서(經書). ≪의례≫, ≪예기≫와 함께 삼례(三禮)라 하며, 십삼경의 하나이다. 천(天)ㆍ지(地)ㆍ춘(春)ㆍ하(夏)ㆍ추(秋)ㆍ동(冬)을 본떠서 6관(六官)의 관제(官制)를 만들고, 천명(天命)의 구현자인 왕의 국가 통일에 의한 이상 국가 행정 조직의 세목 규정을 상세히 설명하였다. 6편 360관(官). (3)술자리에서의 예의범절. (4)술과 감주를 아울러 이르는 말. (5)일주일마다 하는 정례(定例).
  • : (1)‘예제’의 북한어. (2)‘예제’의 북한어. (3)‘예제’의 북한어. (4)‘예제’의 북한어.
  • : (1)장사를 지내는 일. 또는 그런 예식.
  • : (1)예법이나 예식을 미리 익힘.
  • : (1)증서, 원서, 신고서 따위와 같은 서류를 꾸미는 일정한 방식.
  • : (1)일정한 규칙과 정하여진 관례.
  • : (1)‘예사’의 북한어. (2)‘예사’의 북한어. (3)‘예사’의 북한어.
  • : (1)고을의 관례(慣例). (2)남을 향하여 읍하여 예를 함. 또는 그 예.
  • : (1)‘예거’의 북한어.
  • : (1)‘예접’의 북한어.
  • : (1)‘예봉’의 북한어.
  • : (1)신라 때에, 예작부에 속한 벼슬. 경덕왕 때 이전의 ‘사지(舍知)’를 고친 것이다. (2)강회(講會)에서 강(講)의 진행을 맡아보던 사람. (3)신라 때에, 예부에 속한 벼슬. 경덕왕 때 이전의 ‘사지(舍知)’를 고친 것이다. (4)관례, 혼례, 장례, 제례의 네 가지 의례. (5)비공식적으로 사사로이 차리는 인사. (6)어떤 일이 전에 실제로 일어난 예. (7)활을 쏠 때에 행하는 의식. (8)사면을 베푼 전례. (9)언행이나 선물 따위로 상대에게 고마운 뜻을 나타냄. (10)‘사레’의 방언
  • : (1)예절을 생략하고 씀. 예전에 상중(喪中)에 있는 사람에게 편지를 보낼 때, 첫머리에 썼던 말이다.
  • : (1)‘예부’의 북한어.
  • : (1)아름답거나 좋은 전례(前例). (2)오례(五禮)의 하나. 대사(大祀), 중사, 소사 등 나라에서 지내 온 제사의 모든 예절을 이른다. (3)관례나 혼례 따위의 경사스러운 예식.
  • : (1)‘예조’의 북한어.
  • : (1)신도가 된 것을 증명하기 위하여 행하는 세례의 한 형식. 온몸을 물에 적시는데, 그 몸이 죄에 죽고 의(義)의 몸으로 다시 살아나는 것을 상징한다. 현재는 침례교회에서 실시하고 있다.
  • : (1)‘예용’의 북한어.
  • : (1)임시로 바꾼 법례.
  • : (1)무덤을 옮겨서 다시 장사를 지냄. 또는 그런 일.
  • : (1)‘차례’의 방언
  • : (1)이미 이루어진 규례(規例). (2)혼인의 예식을 지냄. (3)거룩한 예식. (4)교회에서 베푸는 세례식, 성찬식 따위의 거룩한 의식.
  • : (1)‘예칙’의 북한어.
  • : (1)‘예송’의 북한어. (2)‘예송’의 북한어.
  • : (1)‘예론’의 북한어. (2)‘예론’의 북한어.
  • : (1)해석하여 놓은 예.
  • : (1)정성이 없이 겉으로만 번드르르하게 꾸밈. 또는 그런 예절.
  • : (1)‘형망제급’을 달리 이르는 말.
  • : (1)말없이 고개만 숙이는 인사.
  • : (1)공식적으로 있는 사실의 보기.
  • : (1)‘예폐’의 북한어.
  • : (1)‘예배’의 북한어.
  • : (1)‘예법’의 북한어.
  • : (1)상례에서 벗어난 특이한 예.
  • : (1)‘예학’의 북한어.
  • : (1)두말할 것 없이 당연히. ⇒규범 표기는 ‘으레’이다. (2)틀림없이 언제나. ⇒규범 표기는 ‘으레’이다.
  • : (1)눈짓으로 가볍게 하는 인사.
  • : (1)‘예서’의 북한어.
  • : (1)특별한 예. (2)특별한 전례(典例). (3)일반적 규율인 법령 또는 규정에 대하여 특수하고 예외적인 경우를 규정하는 규정. 또는 그 법령.
  • : (1)‘그래’의 방언
  • : (1)책의 첫머리에 그 책의 내용이나 쓰는 방법 따위에 관한 참고 사항을 설명한 글. (2)예시하여 모범으로 삼는 것.
  • : (1)임금을 섬기어 벼슬하는 사람. (2)신하로서 지켜야 할 도리. (3)새로운 예(例).
  • : (1)예절이 바른 손님. ⇒남한 규범 표기는 ‘예빈’이다. (2)예절을 다하여 맞아들이는 손님. ⇒남한 규범 표기는 ‘예빈’이다.
  • : (1)선원에서, 다른 절의 승려에게서 물건을 받거나 공양을 받았을 때에, 그에 답하는 일.
  • : (1)‘예규’의 북한어.
  • : (1)예를 따라 좇으며 예의 본질로 되돌아가는 일. (2)예전에, 남의 집에 딸려 천한 일을 하던 사람.
  • : (1)‘예탁’의 북한어.
  • : (1)유교 사회에서 행하는 여섯 가지 큰 의식. 관례(冠禮), 혼례(婚禮), 상례(喪禮), 제례(祭禮), 향례(鄕禮), 상견례(相見禮)를 이른다. (2)우리나라에서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혼인의 여섯 가지 예법. 납채, 문명(問名), 납길, 납폐, 청기(請期), 친영을 이른다.
  • : (1)법(法)의 총칙적(總則的)인 규정. 명(名)은 오형(五刑)의 죄명(罪名)을, 예(例)는 오형(五刑)을 적용하는 법례(法例)를 뜻한다.
  • : (1)혼인의 예절. (2)물건을 선사하는 예의.
  • : (1)사람을 보낼 때에 갖추는 예.
  • : (1)‘예총’의 북한어.
  • : (1)전부터 있어 온 일정한 사례. (2)존경의 뜻을 표하기 위하여 예로써 나타내는 말투나 몸가짐. (3)행사를 치르는 일정한 법식. 또는 정하여진 방식에 따라 치르는 행사.
  • : (1)‘예년’의 북한어.
  • : (1)본디부터 가지고 있는 병. ⇒남한 규범 표기는 ‘예병’이다.
2 3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64개) : 라, 락, 란, 랄, 람, 랍, 랑, 래, 랙, 랜, 램, 랩, 랬, 랭, 랴, 략, 량, 러, 럭, 런, 럼, 레, 렌, 렘, 렙, 렛, 려, 력, 련, 렴, 령, 례, 로, 록, 론, 롤, 롬, 롱, 롸, 뢰, 룀, 료, 룡, 루, 룩, 룬, 룰, 룸, 룹, 류, 륙, 륜, 률, 르, 륵, 를, 릉, 리, 릭, 린, 릴, 림, 립, 링

실전 끝말 잇기

례로 시작하는 단어 (142개) : 례, 례가, 례거, 례거하다, 례건, 례격, 례겸, 례경, 례경하다, 례관, 례구, 례궁, 례규, 례기, 례납, 례납하다, 례년, 례니라, 례단, 례담, 례답다, 례당, 례대, 례대하다, 례도, 례론, 례리, 례모, 례모관, 례모답다 ...
례로 시작하는 단어는 142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례를 포함하는 두 글자 단어는 250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